풀양 입을 열다 – 1/?
By suapapa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모토에 맞춰 책상위에 이산화탄소 먹고 성장하는 녹색 “풀양"을 들였습니다.
스카님이 로즈허브 두 뿌리를 분양해 주셨습니다. 감사 (__)
풀양이 -또- 말라 죽어버리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 하고자 아두이노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프로토 타입 입니다:
왼쪽에 풀양, 가운데(동그라미) 습도 센서, 오른쪽 아두이노와 3선제어 LCD
이런 종류의 습도 센서는 구글에서 “soil moisture sensor” 로 검색하면 몇가지 솔루션이 나옵니다.
그 중 쉽게 구할 수 있는 부품들로 만들 수 있는 간단한 녀석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회로도:
- JP2를 통해 5V를 입력하고,
- JP1의 각각에 못 등의 금속체를 각각 연결하여 화분의 흙 속에 묻고,
- TO_ARDUINO_A_IN 핀을 아두이노의 아날로그 입력에 연결합니다.
다음은, 흙 속에 묻을 (녹이 슬지 않으면서 전기는 통하는) 적당한 프로브가 필요합니다. 아연 못이면 좋다고 하던데.. 아연이 뭥미?
미래에셋 달력의 금도금! 금속 조각을 발견 이걸 사용합니다. ㅎㅎㅎ
더 나은 습도 센서를 찾는다면 아래 두 링크를 참조하세요
또, 항상 풀양을 5V로 지지는 것이 안쓰러워 JP2을 -전원에 직결하지 않고- 13/GND 에 연결하고 10분 단위로 측정시에만 13번 핀을 HIGH시켜 주고, AIN (0번) 으로 읽은 값을 LCD에 표시한 후 다시 끄도록 하였습니다. 다행히 -한 달이 지난 지금- 풀양은 가끔씩 5V로 지져지는 걸 별로 개의치 않는 듯 합니다.
아두이노의 ADC는 10bit이며 이는 AIN으로 읽은 값의 범위가 2^10(0~1023)임을 의미합니다. 흙의 습도에 따라 어느정도의 값이 나오는지는 화분의 크기, 흙의 상태, 프로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테니 우선 한동안 관찰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센서 값을 네 구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 900~881 : 물이다!
- 880~801 : 살만함
- 800~751 : 목마름
- 750~500 : 나죽네
다음은, 이 값들을 기준삼에 풀양이 말을 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참고 링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