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PCB] 에칭용액 만들어 쓰기

PCB 에칭 용액으로 전자부품상에서 파는 “에칭파우더"를 물에 타서 쓰고 있었는데, 이 용액의 정체가 궁금하기도 하고 너무 빨리 수명이 다 되는 것 같아 대체 용액을 알아보던 중, 여기서 직접 만드는 방법을 찾아 시험해 보았습니다. 링크에 따르면 에칭파우더로 만든 용액은 황산나트륨인 것 같네요. (에칭 후 파란색이 됨) 그건 그렇고, 여기서 만들어 볼 용액은 “과산화수소+염산” 입니다. 다소 위험한 36%염산 용액을 사용하며 용액 제조시 염소 기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지만, 데우거나 흔들 필요 없이 10분안에 뚝딱하고 에칭이 되는 강력한 용액을, 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

March 23, 2010 · suapapa

[파이썬+폰트포지] 우분쿠 크롬에서 나눔코딩글꼴 버그 수정.

요 몇 년 사이에 쓸만한 공짜(나눔코딩의 경우 무려 자유!)글꼴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매번 일일이 복사해다가 설정하기 번거로와서, 짬나는 대로 끌어모아 각각 deb패키지로 만들어 제 PPA에 쌓아두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모은 글꼴들은… 신영복엽서체 `ttf-araea` 아리따체 `ttf-aridda` 다음체 `ttf-daum` 함초롱체(한컴체) `ttf-hancom` 한겨레결체(한결체) `ttf-hankc` 나눔글꼴 `ttf-nanum` **나눔고딕코딩체**(나눔코딩체) `ttf-nanum-coding` 네이버사전체 `ttf-naverdic` 입니다. 글꼴 이름 뒤의 ttf-로 시작하는 영어이름은 패키지명이니까. 위의 ppa를 추가하신 후 패키지명으로 검색해서 설치하면 되요. 공짜글꼴이지만 위의 리스트에 없는 글꼴들은, 제 레이더에 잡히지 않았거나, 재배포를 막았거나, 다운로드 링크를 크롬브라우져에서 접근할 수 없는 경우 처럼 왠지 맘에 들지 않거나한 경우 입 니다. 🙂 ...

March 22, 2010 · suapapa

moserial – 그놈용 GUI 시리얼 터미널

minicom의 대안 ASCII / HEX 모드 되구요. X,Y,ZMODEM 다 되구요. 한글화 까지 되었습니다. 🙂 제 ppa를 추가 하시거나, 개인 ppa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 https://bugzilla.gnome.org/buglist.cgi?product=moserial&bug_status=UNCONFIRMED&bug_status=NEW&bug_status=ASSIGNED&bug_status=REOPENED&bug_severity=enhancement

March 22, 2010 · suapapa

만화로 배우는 납땜

Andie’s Log의 만화 Soldering is easy를 번역해 봤습니다. 참 쉽죠잉~

March 3, 2010 · suapapa

SSUA: Single Sided Usb Arduino -beta-

메리크리스마스~ 🙂 짜잔~ 단면기판으로 만든 USB!! 아두이노 입니다. Serial2USB 칩으로는 (FT232RL대신) FT232BL을 사용했습니다. BL이 외부 부품이 더 많이 필요하지만 패키징의 다리두께와 간격이 넓어 가내 에칭과 SMD 땜질의 성공률이 확 올라가죠! 우분투 리눅스에서는 이 칩도 드라이버 추가 설치 없이 착! 하고 인식되네요. 단면기판으로 작게 만들다보니까 외장 전원을 위한 부품들은 제외되었습니다. 해서, 일단은 Beta 상태로, 짬 되는 대로 정리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 현 상태의 EagleCad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December 24, 2009 · suapapa

Szekeres Amp rev4 : 전원부 발열 수정

요즘은 생업이 넘흐 바뻐서 블로그 포스팅이 꽤 뜸해졌네요. 일전에 만들었던 Szekeres Amp. 를 모두 분양해 드려서 저 쓰려고 새로 만들어 봤습니다. 기존 전원부 자리에 커다랑 코일이 자리잡은게 보이시나요? Szekeres 는 기본적으로 열이 펄펄 나는 앰프인데, 두 파워모스펫 외에도 -기존 9V 레귤레이터- 7809에서도 ‘이래되 되나?’ 싶은 정도의 열이 납니다. 해서 -홈서버 전원부 용으로 사 둔- LM2576-12 라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로 전원부를 바꿔 봤습니다. 신정섭님의 ref 와 같은 12V 단전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

December 12, 2009 · suapapa

Suapapa’s Blog, adafruit를 정ㅋ벅ㅋ

ada

September 20, 2009 · suapapa

ko-po-check + vim : 번역 검수 편하게 하기

이 포스트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번역을 하시는 분(또는 하시려는 분) 중 ko-po-check가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썼습니다. 보통 자유 프로그램의 번역은 아래의 work flow를 따라 진행됩니다. 프로그램 소스 획득 message.pot -> ko.po 로 변환 poedit를 통해 번역/자동번역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패치(ko.po) 보내기 ko-po-check는 위 과정의 3번과 4번 사이에 잘못된 번역이 없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커맨드라인 유틸리티 입니다. 여기서 언급하지 않은 과정이 궁금하신 분은 Mr-Dust 님이 정리하신 번역 가이드 를 살펴보세요. 일전에 윈도에서의 사용법을 포스팅 한 적도 있지만, 이번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분투 리눅스를 사용중이고, vi(vim)을 써본 적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September 16, 2009 · suapapa

가상 프레임 버퍼 – wxvfb

프레임 버퍼(리눅스 프레임 버퍼)는 이름 그대로 프레임(화면)을 위한 버퍼(메모리) 입니다. 예로, 한 픽셀에 3byte(RGB888)가 필요한경우 1024*768 해상도를 위해 필요한(준비된) 버퍼의 크기는; 1024*768*3 = 2359296 byte 로 약 2M 정도가 되겠습니다. 메모리 복사는 꽤 비싸므로, 특히 동영상이나, 게임과 같이 높은 프레임레이트가 필요하다면 더욱 한번에 -그래픽 카드로- 복사하는게 좋겠죠. 프레임버퍼의 존재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리눅스의 경우 프레임 버퍼 장치가 보통 /dev/fb 패스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파일? 메모리라고 하지 않았던가요? 이 장치 파일을 메모리에 사상시키기 위해 mmap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아흑 눈물겹게 직관적이에요. 감동 T-T ...

September 8, 2009 · suapapa

본격 참치 앰프! – 실패기

시행착오를 거쳤던 ka2201 스피커 앰프를 다시 만들어 봤습니다. 케이스에 넣어서 완성 해 보려구요. 예쁘게 기판 뜨고… 배선 배선… 두구두구두구 완성! 하지만 -그렇게 시행착오를 거쳤는데도- 소리가 엉망이네요 -_-; 원인 불명. 아나로그는 참 어려워요. ㅎ

September 7, 2009 · suapa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