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리비젼DB 지우기 : Python + mysql

워드프래스 2.6버젼 부터는 리비젼기능이 기본적으로 추가되어 있습니다. 변경 내역을 저장하는 기능인데, 사실 이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라 필요 없는 기능이에요. (그런일은 위키가 잘 해주니까요) 또 퍼블리쉬 전에 자주 고치고, 후에도 또 고치고 하다보니 본 내용에 못지 않게 많은 용량을 사용하고 있을거라 생각되어 살펴보았습니다. 일단, wp-config.php에 아래의 설정을 추가하여: define("WP_POST_REVISIONS", false); 리비젼 기능을 끄면, 앞으로는 리비젼을 쌓아두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기존에 저장되었던 리비젼들은 그대로 DB에 남아있죠. 지워보겠습니다. 당연히! -언제든지 망칠 수 있으므로- db백업 후에 진행합니다! ...

August 11, 2009 · suapapa

[공지] 본 블로그 내의 사진이 보이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 수정완료

2009.08.10 추가 사진 잘 나오게 수정했습니다. 다국어 플러그인이 그지같아서 ㅎㄷㄷ 했습니다용. 몇일전에 블로그의 URL이 https://homin.dev 에서 https://homin.dev 으로 옮겨졌고, 그에 따라, 일전에 작성했던 포스트 중 사진의 링크에 https://homin.dev 이 포함된 것들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 포스트가 20여개 정도 되고, 안보이는 사진들들은 60여개 정도 될 것 같네요. Python+MySQL로 한큐에 수정하려고 했으나… ...

August 7, 2009 · suapapa

리눅스에서 바둑 두기 – GnomeGo

바둑은 4천년의 역사를 가진 재미있는 게임 입니다 이랍니다. 저는 알까기에 조차 소질이 없어 통 바둑판을 마주할 일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었지만, [genie 9788970991511] “고스트 바둑왕"이라는 만화를 통해 바둑에 급 관심이 생겼습니다. 23권으로 완결되었고, 바둑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혀 없어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바둑을 두는 방법으로 찾아보니 “gnugo"로 대동단결이길래 우분투 기본 저장소의 것으로 설치하고 실행해 보니… 이러고 계시군요. 40년은 되어 보이는 인터페이스로 인해 다시 바둑에 비호감으로 돌아설 뻔 했지만, 요즘 좀 한가한 덕에 조금 근성을 가지고 더 살펴 보게 되었습니다. ...

July 28, 2009 · suapapa

Celestia로 -신의 시점에서- 본 개기 일식

오늘 개기일식은 모두 잘 보셨나요? 저도 플로피 디스켓 들고 한참을 옥상에 서 있다 왔습니다. 아직도 눈이 얼얼 하네요. 🙂 개기일식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는 대충 알고 있지만 왜 이번엔 우리나라 주변에서 볼 수 있는지, 왜 이렇게 자주 볼 수 없는지 (우리나라에서 관측 가능한 다음 개기일식은 약 25년 후라고 하네요) 등이 궁금하여… 천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Celestia로 금일의 개기일식때의 지구의 모습을 봐 보았습니다. 설치는 위에 링크된 공식홈에서 각 OS에 맞는 바이너리를 받아 기본값으로 선택하며 진행. 우분투 리눅스라면 기본 저장소에서 검색됩니다. ...

July 22, 2009 · suapapa

그린박스 3/6 – 서버 모니터 보드 제작… 실패기 -_-;

+알파 부분 들어갑니다. 아직 팍템(Parkoz Thermometer)을 기억하시는 분이 많으실 것이라 생각되네요. 팍템은 하드웨어 커뮤니티 파코즈의 대장 박성철 님이 2003년도에 만들어 공구하신 8채널 온도계로 CLCD에 선택된 채널의 온도를 표시하는 마이컴 보드였습니다. 팍템 공구 당시에는 엄두가 안 나서 구입할 수 없었고, 지금은 구할 수 없는 물건이 되었죠. 해서, 아두이노 호환 보드 인터보드 8BK를 이용해 서버 모니터를 제작하였습니다. 단순한 온도계는 아니고,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있습니다: CLCD 출력 3채널 온도계 2채널 아나로그 게이지 1채널 팬 컨트롤 다른 부분은 별다를게 없고, ...

July 7, 2009 · suapapa

그린박스 2/6 – 하드구매 & 우분투설치

홈서버에 사용할 하드디스크로 320G 2.5″ SATA 하드를 구매했습니다. 저전력, 무소음, 고내구성의 SSD가 땡기긴 했지만 아직 고가이고 안정되어 보이지 않아서 패스. ATX PSU를 만들면서 새삼 알게된 게, 5V전원선은 빨간색 12V전원선은 노란색이며 전원별로 각각의 -통일된- 색의 전선이 사용되더군요 하드디스크의 상단에는 필요전압과 전류량이 써 있는데 이 하드의 경우: 5V 0.451A 로 5V만 사용하므로, -선정리의 편의를 위해- SATA 전원 케이블에서 12V라인을 제외 하기로 했습니다. 사실 제가 사용할 Evem보드는 SATA가 등장하기 전의 구형 보드라 SATA단자가 없기 때문에 ...

June 18, 2009 · suapapa

긴급안보점검! 중국이 한꺼번에 오줌을 싸면 우리나라는 잠기나?

IRC에서 이런 문제를 제기하신 분이 계셔서 샘 해 봤습니다. 우선 중국인들이 한꺼번에 오줌을 싸면 얼마나 될까를 알아보기 위해 기준지표?들을 조사해…: 하루에 평균 6회 1350ml 이 평균이 성인기준이므로 대충 줄여 1회 200ml 중국 인구 13억 곱해 보니, 2억 6천만 리터! 군요. 1일이 아니라 1회 입니다! 이는, 오줌 1리터병을 4천만 한국인이 인당 6.5병씩 나눠 가질 수 있는 양입니다. 실로 우리나라는 이렇게 잠기는 것일까요? ㅎㄷㄷ 생각해 보니, 4천만 한국인이 동시에 6.5씩을 땅에 붇는다고, 우리나라가 잠길 것 같지는 않은것 같네요. ...

June 16, 2009 · suapapa

그린박스 1/6 – ATX 파워(DC2DC) 자작

오랬만에 대형 포스팅 갑니다. 스크롤 압쀍 주의! **1. 들어가며 ** 작은 PC를 만들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작게 만드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파워” 입니다. PC의 눈부신 성능 향상에 따라 더 높은 용량의 파워(요즘은 500W가 기본이더군요 ㅎㄷㄷ)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 말은 -대개- 파워 유닛 안에 더 “큰” 부품들과, 방열판, 팬등이 필요하게 된다는 말이죠. 파워 역시 발전하여 예전과 같은 크기에서 용량을 키우는데 성공하고 있지만, 작아지는데는 별로 진전이 없어 보입니다. 저 역시 이전 홈서버에서 가장 아쉬웠던 크기, 소음 모두 파워서플라이(110W AC2DC) 때문이었습니다. 🙁 ...

June 12, 2009 · suapapa

HDR 활용 사례 – 한국우분투사용자모임 단체사진 보정

지난 5월 30일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에서 한국 우분투 사용자 모임의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이 포스팅의 사진들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세미나 내용과 더 많은 사진들은 한국 우분투 사용자 모임 포럼의 게시물 에서 이 확인하세요. 🙂 저는 Danzy 님, Draco 님 과 함께 사진 서포터로 참여 했었습니다. 단지, 이 포스팅을 쓰기 위한 포석이었던 절대 아닙니다. ㅋ 위 단체 사진은 -광각렌즈를 준비했다는 죄로- Danzy님이 촬영해 주신 걸, 지난번에 작성해 둔 HDR 변환 스크립트를 사용해 HDR이미지로 변환한 사진 입니다. ufraw의 버젼 업!으로 달라진 옵션을 스크립트에 적용하였습니다. 포스팅을 작성할 당시 우분투에 패키지로 없었던 enfuse가 이젠(우분투 9.04) 추가 되어 있으니 우분투에서 더 쉽게 HDR을 경험해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 ...

June 11, 2009 · suapapa

그린박스 0/N – 메인보드 물색

현재 제 첫번째 홈서버는 지난 하드 뻑 사건 이후에 해체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여분의 데스크탑에서 임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떡본김에 제사지낸다고 새 서버(코드네임 그린박스)를 만들기 위해 현재 판매중인 ITX 보드들을 살펴 보았습니다. 제가 찾던 보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ITX 폼펙터 15만원 이하 저전력 (몇 W 소모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것) 기가랜 랜포트 두개 (적어도 추가를 위한 PCI슬록이 있을것) 다나와를 찾아본 결과 몇년전과 달리 꽤 많은 종류의 ITX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젠 ITX폼 펙터도 풍부한 물량이 준비되어 있었네요. ...

June 3, 2009 · suapa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