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diypcb_workshop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diypcb_workshop [2010/03/03 02:36] suapapadiypcb_workshop [2013/08/03 05:04]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Line 4: Line 4:
     *[[http://blog.makezine.com/archive/2008/11/howto_tuesday_drawdio_mee.html|Drawdio Hack]]     *[[http://blog.makezine.com/archive/2008/11/howto_tuesday_drawdio_mee.html|Drawdio Hack]]
   *재료: [[/재료비_목록]]   *재료: [[/재료비_목록]]
 +
 ====== 안전이 최우선 ====== ====== 안전이 최우선 ======
   * 상식에 맞게 행동할 것   * 상식에 맞게 행동할 것
   * 서두르지 말것   * 서두르지 말것
 +====== 동판 준비 ======
 +전자부품 매장에서 단면/양면의 에폭시/페놀기판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단면 에폭시기판으로 구입합니다. 양면은 DIY가 힘들고 페놀 기판은 -약간 더 싸지만- 내구성이 낮고 똥색입니다.
 +
 +커터칼의 날 뒷면!을 사용해 2~3차례 갈아서 가이드를 만들고 실톱을 사용해 켜는 것을 위주로 자랍니다. 기판이 작으면 자를 때 손으로 잡기 힘드므로 바이스를 이용하면 좋습니다.
 +
 +자른면을 사포로 다듬어 가장자리에 마스팅이 실패하는 것을 예방합니다.
 +
 +동판을 철수세미를 사용해 반짝반짝하게 세척합니다. 가루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과 함께 쓱삭쓱삭. 마스킹이 실패하였거나, 동판이 산화 된 경우에도 수세미로 문질러 새 것 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
 ====== 토너 전사 (Toner transfer) ====== ====== 토너 전사 (Toner transfer) ======
-레이져 프린터의 인쇄 원리를 용해 동판에 기판모양의 마스킹을 올리는 방법 +레이져 프린터를 용해 전사지에 토너를 올린(인쇄) 후 동판에 이를 전사합니다. 
-  패턴이 남을 부분(전선)을 검은색으로 좌우반전하여 이미지 준비(600dpi) + 
-    * 실제 크기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쇄후 부품을 올려 확인+패턴이 남을 부분(전선)을 검은색으로 좌우반전된 단색 이미지를 준비합니다. A4지에 인쇄 후 실제 크기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쇄후 부품을 올려 확인하세요. 전사지로는 잡지, 박리지(스티커 뒷), OHP필름, 잉젯용지를 쓸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선 레퍼런스인 PressNPeel(PnP)필름을 사용합니다. 
-  * 도을 종이에 인쇄 -> 인쇄 위치에 PnP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붙인 후 재  + 
-    PnP필름을 기판의 사이즈보다 크게 자를것! +PnP필름을 낭비없이 사용하기 위해. PnP필름을 기판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잘라 기이 인쇄된 A4지 위에 테이프 붙이고 다시 인쇄합니다. PnP필름의 경우 거친에 인쇄를 해야 합니다. 지의 경우 코팅된 에 인쇄합니다. 
-  * 동판 준비 + 
-    * 철수세미를 사해 동판을 -반짝반짝하게- 세척 +인쇄된 PnP필름을 인쇄면이 동판과 마주하게 종이테이프로 고정합니다. 그 위에 종이를 한 장 깔고, 다리미를 면 보다 낮은 온도에 맞추고 3~5분 정도(동판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 다립니다. 주변부가 전사되지 않는 일이 많으므로 주변부를 꼼꼼히 다려 주세요. 
-    * 칭후 컷팅시 실수를 돌킬 수 없으므로 동판을 미리 자른다. + 
-    * 커터칼의 날 뒷으로 2~3차례 갈아서 가이드를 만듬 +동판이 뜨거우니 조심하여 물에 넣어 히고, PnP필름을 제거합니다. 끊어진 패턴은 유성팬으로 이어 줍니다.
-    * 실톱을 사용해 켜는것을 위주로 자름. +
-    * 기판이 작으면 손으로 잡기 힘드므로 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 자른 가장자리 면을 사포로 다듬어 준다. +
-  * 토너 전사 +
-    인쇄된 PnP필름을 인쇄면이 동판과 마주하게 고정 +
-    * 다리미를 면 보다 낮은 온도에서 5분 정도 다림(동판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 +
-    * 주변부가 전사되지 않는 일이 많으므로 주의할 것 +
-  물에 식힌 후 PnP필름 제거 +
-  * 끊어진 패턴은 유성팬을 이용해 이어줌 +
-===== references ===== +
- *[[http://www.opencircuits.com/Toner_Transfer|Toner Transfer]]+
  
 ====== 에칭 ====== ====== 에칭 ======
-  * 에칭액 제조 +염산과 과산화수소를 사용해 강력한(데우거나 흔들필요 없는)에칭 용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용액 제조시 염소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니 연기의 냄새를 맡지 않도록 하며,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작업하세요. 
-  에칭 + 
-  * 필링 +과산화수소(35%)와 염산(36%)을 2:1의 비율로 섞습니다. 플라스틱 스푼을 이용해 과산화 수소 두 스푼, 염소 한스푼. 과산화수소에 염소를 섞어야 합니다. 
-[[http://www.eleparts.co.kr/front/productdetail.php?productcode=008004003000002563|에칭파우더]]+ 
 +스펀지를 이용해 마스킹(토너전사)된 면을 문지릅니다.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에칭이 끝나면 화학반을을 멈추기 위해 물로 세척하고 철수세미를 이용해 마스킹을 제거합니다. 
 + 
 +좀 더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고 싶다면 [[http://www.eleparts.co.kr/front/productdetail.php?productcode=008004003000002563|에칭파우더]]를 물에 타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을 만들어 사용하세요. 이 용액은 온도를 40도 정도로 맞춰주어야 에칭이 잘 됩니다. 상온에서는 에칭 시간이 몇 시간씩 걸릴 수도 있습니다. 
 + 
 +에칭용액은 금속을 부식시키므로, 플라스틱이나 유리용기에 담아서 보관합니다. 
 + 
 +에칭액을 버릴때는 하수구에 직접 버리지 마세요! 하수관을 부식시킬 우려가 있을 뿐더라 불법입니다!
  
-===== 에칭액 레시피 ===== 
-염화제이수소: 퍼키챈 키시막투님(응용화학과 출신) 알려주신 방법 
-  * 염산 1.056 과산화수소 0.089 물 0.885 
-  * 투입순서 : 물, 과산화, 염산 
-  * 주의 : 환기! (염소기체는 바닥에 깔린다함) 
 ====== 조립 ====== ====== 조립 ======
 저항, TR등의 다리는 0.8mm 척을 사용해 드릴링 합니다. 실제 다리의 두께는 0.7mm정도이나 손드릴시 구멍이 직각으로 뚤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큰 구경을 사용하였습니다. 더 두꺼운 다리들은 1.0mm을 사용합니다. 저항, TR등의 다리는 0.8mm 척을 사용해 드릴링 합니다. 실제 다리의 두께는 0.7mm정도이나 손드릴시 구멍이 직각으로 뚤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큰 구경을 사용하였습니다. 더 두꺼운 다리들은 1.0mm을 사용합니다.
  
-드릴링이 끝나면, 차례로 부품들을 납땜합니다. 온도에 강한(저항) 부품부터 약한(IC)부품의 순으로, 높이가 낮은 부품부터 높은 부품의 순으로 납땜하세요. 종이테이프등을 사용해 부품과 PCB를 고정하면 편리합니다.+드릴링이 끝나면, 차례로 부품들을 납땜합니다. 온도에 강한(저항) 부품부터 약한(IC)부품의 순으로, 높이가 낮은 부품부터 높은 부품의 순으로 납땜하세요. 종이테이프등을 사용해 부품과 PCB를 고정하면 편리합니다. 납땜이 다 끝나면 꼭 손을 씻으세요!
  
 IC와 전지를 연결하고 테스트 해 봅니다. IC와 전지를 연결하고 테스트 해 봅니다.
  
-다 끝나면 꼭 손을 씻으세!+전도성테이프(또는 구리선)와 압핀을 사용해 연필에 연결해 봅니. 전도성테이프는 접착에도 전기가 흐르지만, 접착면이 좁은 경우 잘 안 될 수도 있기때문에 필에 따라 납땜하여 연결합니다. 
  
  
  
-  
 ====== references ====== ====== references ======
-  *[[http://www.opencircuits.com/Chemical_Etchants|에칭용 화학약품들]]+  * [[http://www.opencircuits.com/Toner_Transfer|토너 전사]] - 전사용지로 잡지를 사용한 방법 
 +  * [[http://www.opencircuits.com/Chemical_Etchants|에칭용 화학약품들]]
     * [[http://members.optusnet.com.au/~eseychell/PCB/etching_CuCl/index.html#Chemistry_of_cupric_chloride_etchant|염화구리용액의 화학식]]     * [[http://members.optusnet.com.au/~eseychell/PCB/etching_CuCl/index.html#Chemistry_of_cupric_chloride_etchant|염화구리용액의 화학식]]
   * [[http://web.suapapa.net:8080/wordpress/?p=460|납땜 방법 참고]]   * [[http://web.suapapa.net:8080/wordpress/?p=460|납땜 방법 참고]]
    
diypcb_workshop.1267583774.txt.gz · Last modified: 2013/08/03 05:04 (external edit)